맨위로가기

폐비 류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폐비 류씨는 조선 광해군의 왕비로, 임진왜란 시기 피난길에 아이를 낳았으나, 이후 인조반정으로 광해군과 함께 폐위되어 강화도로 유배되었다. 류씨는 유배지에서 사망했으며, 묘는 현재 광해군묘로 남양주시에 위치해 있다. 그녀는 광해군과의 사이에서 세자와 두 왕자를 두었으나, 폐세자 이지만 성인이 되었고, 류씨는 불교를 숭상하며, 후생에는 왕가의 며느리가 되지 않기를 소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576년 출생 - 아사노 요시나가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아사노 요시나가는 아즈치모모야마 시대의 무장으로,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측근 아사노 나가마사의 아들이며 임진왜란, 세키가하라 전투 등에 참전했고, 세키가하라 전투 후 와카야마 번주가 되었으며 도요토미 가문 몰락 후 암살설이 돌기도 했다.
  • 1576년 출생 - 정충신
    정충신은 임진왜란 때 무관으로 활동을 시작하여 이괄의 난을 진압하는 데 기여했고, 다방면에 능통했으며, 사후 충무의 시호를 받았다.
  • 조선의 왕세자빈 - 순정효황후
    순정효황후는 대한제국 마지막 황제 순종의 황후로, 황태자비 책봉 후 순종 즉위와 함께 황후가 되었으나 한일 병합 조약 이후 이왕비로 격하되었고, 순종 사후에는 대비로 불리다 한국 전쟁 중 창덕궁을 지키고 말년에는 불교에 귀의하여 낙선재에서 지내다 심장마비로 사망 후 유릉에 합장되었다.
  • 조선의 왕세자빈 - 순명효황후
    순명효황후는 여흥 민씨 출신으로 순종의 황후이며, 세자빈으로 책봉된 후 대한제국 선포 후 황태자비, 순종 즉위 후 황후로 추봉되었으나, 명성황후 시해 사건 목격 후 우울증을 겪다 33세에 자녀 없이 사망하였다.
  • 1623년 사망 - 김예직
    김예직은 조선 중기 무신으로, 선조의 후궁 공빈 김씨의 동생이며 임진왜란 때 선조를 호종했고 무과 급제 후 여러 관직을 역임했으며 광해군 시대 탄핵을 받았으나 인조반정 이후 포상을 받았고 김종필의 12대 조상이다.
  • 1623년 사망 - 구로다 나가마사
    구로다 나가마사는 일본 전국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까지 활동한 무장으로, 오다 노부나가 인질 생활과 도요토미 히데요시 휘하 참전을 거쳐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공을 세워 후쿠오카 번 초대 번주가 되었으며, 임진왜란 참전과 잔혹 행위에 대한 복합적인 평가를 받는다.
폐비 류씨
기본 정보
이름폐비 유씨
로마자 표기Pye-bi Yu-ssi
▨영(▨英)
출생1576년 8월 15일
출생지한성, 조선
사망1623년 10월 21일
사망지강화도, 조선
묘소광해군묘 (경기도 남양주시 진건읍 송릉리)
씨족문화 류씨
가문전주 이씨 (혼인으로)
작위
왕비조선의 왕비
재위 기간1608년 3월 17일 – 1623년 4월 12일
세자빈조선의 왕세자빈
세자빈 재위 기간1592년 4월 29일 – 1608년 8월 7일 (음력)
가족 관계
아버지유자신, 문양부원군
어머니정양정, 봉원부부인 동래 정씨
배우자이혼, 광해대왕
자녀이름 없는 아이
이름 없는 아들
폐세자 이지
이름 없는 아들
존호
시호문성군부인(文城郡夫人)
추존 시호혜장왕후(惠章王后)
장렬경휘정성명숙현신정순왕비(章烈敬徽貞聖明淑顯愼貞順王妃)
왕실 관계
전임 왕비인목왕후
후임 왕비인열왕후
전임 세자빈세자빈 윤씨 (공회빈)
후임 세자빈세자빈 박씨

2. 생애

문화 류씨 류자신동래 정씨 사이에서 태어난 류씨는 광해군과 혼인하여 "'''문성군부인'''"에 봉해졌다. 1592년(선조 25년)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광해군은 급히 왕세자로 책봉되었고, 류씨도 왕세자빈이 되었다. 류씨는 광해군과의 사이에서 3남(다른 성별 불명의 1자녀 포함)을 낳았으나, 성인이 된 것은 폐세자 이지뿐이었다. 그러나 시아버지 선조인목왕후와 재혼하여 적자 영창대군을 낳으면서 남편 광해군과 함께 위태로워졌고, 8살 연하의 시어머니에게 복잡한 감정을 품게 되었다.[1]

1608년(선조 41년), 선조가 승하하고 광해군이 즉위하면서 류씨는 왕비가 되었다. 류씨 일족은 외척으로서 세력을 떨치며 영화를 누렸으나, 그 중에는 부정행위를 저지르는 자도 나타나 궁정이 부패해 갔다.[2]

1623년(광해군 15년), 인조반정으로 광해군과 함께 폐위되어 강화도에 유배되었다. 아들 폐세자 이지와 며느리 폐빈 박씨가 탈출을 계획했다는 것이 발각되어 처형되자, 류씨는 충격을 받아 자살했다. 아내와 아들을 잃은 광해군은 만년에 제주도에서 지내다 1641년(인조 19년)에 승하하였다.[3]

2. 1. 탄생과 가계

문화를 본관으로 하며, 1576년(선조 16년) 7월 21일 아버지 류자신과 어머니 정양정 사이에서 6남 4녀 중 셋째 딸이자 아홉 번째 자녀로 태어났다.

정확한 이름은 알려져 있지 않으나, 폐비 류씨의 큰 언니와 작은 언니의 이름이 각각 옥영(玉英), 중영(重英)이고 여동생의 이름이 소영(小英)인 점으로 보아 이름이 '영(英)'자로 끝났을 것으로 추측된다.[6]

아버지 류자신은 정종의 넷째 아들인 선성군의 외5대손이며, 어머니 정양정 또한 정종의 열넷째 아들인 정석군의 현손이다. 폐비 류씨의 부모는 정종을 공통 조상으로 하는 11촌 지간이며, 폐비 류씨와 광해대왕은 태조 이성계를 공통 조상으로 한다.

또한 폐비 류씨는 중종 대의 문신인 정광필의 현손이며 정유길의 외손녀이기도 하다. 류씨 친가의 형제들과 외가 친척들 또한 왕실의 후손들과 혼인하여 인척 관계를 형성하였다.

2. 2. 혼인과 세자빈 책봉

1587년(선조 20년), 선조의 차남 광해군의 아내로 간택되어 문성군부인(文城郡夫人)으로 봉해졌다.[14] 1592년(선조 25년) 4월, 광해군이 왕세자로 책봉되자 왕세자빈이 되었다.[14] 임진왜란 당시 만삭의 몸으로 의주로 피난하였는데, 해산했다는 기록이 없어 자녀의 성별은 알 수 없다.[14] 1598년(선조 31년) 12월, 원손 이지를 낳았다.

2. 3. 왕비 시절

1608년 2월, 선조가 승하하고 광해군이 즉위하자 왕비가 되었다. 선조의 3년상을 마친 1610년(광해군 2년) 4월 22일, 광해군이 교서를 내려 류씨의 왕비 책봉례를 거행하였다.[7]

1587년 11세의 나이로 선조의 아들이자 김공빈의 아들인 광해군의 배필로 간택되었다. 광해군의 부인으로서 문성군부인(文成郡夫人)이라는 왕실 작위를 받았다. 1592년 임진왜란 발발로 광해군이 세자가 되자 16세의 나이로 세자빈 지위로 격상되었다. 1608년, 광해군이 조선 제15대 왕으로 즉위하면서 왕비가 되었다.

왕비의 아버지 류자신에게는 문양부원군(文陽府院君) 작위가, 어머니 동래 정씨에게는 봉원부부인(蓬原府夫人) 작위가 내려졌다. 류씨는 광해군과의 사이에서 3남(다른 성별 불명의 1자녀 포함)을 낳았으나, 그 중 성인이 된 것은 폐세자 이지뿐이었다. 그러나 시아버지 선조가 인목왕후와 재혼하여 적자 영창대군을 낳으면서 남편과 함께 위태로워졌고, 8살 연하의 시어머니에게 복잡한 감정을 품게 되었다.[1]

1608년 선조의 훙거와 광해군의 즉위로 류씨는 왕비가 되었고, 류씨 일족은 영화를 누리며 외척으로서 세력을 떨쳤다. 그러나 그 중에는 부정행위를 저지르는 자가 나타나 궁정이 부패해 갔다.[2]

2. 4. 폐위와 죽음

1623년 (인조반정) 3월, 정원군의 아들 능양군(인조)이 반정을 일으키자 궁녀들과 함께 궁궐 후원으로 도망하였으나 곧 붙잡혔다.[8] 이후 남편 광해군과 함께 폐위되어 강화도에 유배되었다.

그 해 6월 아들 폐세자 지와 며느리 폐빈 박씨가 유배지에서 탈출하려다 실패하였다. 아들 지는 사사되었고 며느리 박씨는 목을 메어 자결하였다.

같은 해 10월 8일, 류씨도 폐위된 지 7개월여 만에 유배지에서 사망하였다.[9] 야사집 《대동야승》 중의 〈일사기문(逸史記聞)〉에는 류씨가 굶는 방법으로 스스로 목숨을 끊은것이라고 전한다.

윤10월 29일, 경기도 양주 적성(현 남양주시 진건읍)에 장사지냈다. 폐비인 까닭에 시호는 없으며 능 또한 예에 맞춰 조성되지 않았다.[10] 이후 류씨의 묘 근처에 남편 광해군의 묘가 이장되었다.

3. 가족 관계

폐비 류씨는 광해군과의 사이에서 4명의 자녀를 두었다. 그 중 한 명은 성별이 불분명하여, 4남 또는 3남 1녀이다. 성인이 된 자녀는 차남 이지뿐이다.[14] 이지는 3명의 딸을 낳았지만, 성인이 된 것은 측실 소생의 딸 이아기(李娥其)뿐이었다. 이아기는 의성 김씨 김문학(金文學)과 혼인했으나 자녀를 두지 못해 양자를 들였다. 따라서 류씨의 혈통은 손녀 대에서 끊기게 된다.

효종의 비 인선왕후의 외조부 김상용(金尚容)이나, 조선 후기 정권을 장악한 안동 김씨(순조의 비 순원왕후 등)의 조상인 김상헌은 류씨와 어머니 쪽 사촌 형제간이다(그들의 어머니와 류씨의 어머니가 자매).

3. 1. 부모

류자신(柳自新)과 어머니 정양정(鄭楊貞)의 6남 4녀 중 셋째 딸이자 아홉번째 자녀로, 본관은 문화이다. 아버지 류자신은 정종의 넷째 아들인 선성군의 외5대손이며, 어머니 정양정 또한 정종의 열넷째 아들인 정석군의 현손이다. 폐비 류씨의 부모는 정종을 공통 조상으로 하는 11촌지간이다.[6]

colspan="2" |본관생몰년부모비고
문양부원군 文陽府院君
류자신 柳自新
문화1541년 - 1612년류잠 柳潛
하동 정씨 河東 鄭氏
정종의 외6대손[12]
봉원부부인 蓬原府夫人
정양정 鄭楊貞
동래1541년 - 1620년정유길 鄭惟吉
원대은개 元大隱介
정종의 외5대손[13]


3. 2. 형제 자매

이름출생사망비고
류희갱(柳希鏗)1561년1643년맏오빠
류희담(柳希聃)1563년1614년둘째 오빠
류희분(柳希奮)1564년1623년셋째 오빠
류희발(柳希發)1566년1623년넷째 오빠
류옥영(柳玉英)??언니, 문화 류씨
유덕신(柳德新)1568년?다섯째 오빠
류중영(柳重英)??언니, 문화 류씨
류희량(柳希亮)1575년1628년여섯째 오빠
류소영(柳小英)??여동생, 문화 류씨
류희안(柳希安)1581년1638년막내 오빠


3. 3. 배우자

광해군(1575년 6월 4일 ~ 1641년 8월 7일)

   조선 제15대 국왕        광해군     
光海君
출생사망
1575년 6월 14일 (음력 4월 26일)1641년 7월 28일 (음력 7월 1일) (66세)


  • 장인: 선조(1552년 12월 6일 ~ 1608년 3월 6일)
  • 장모: 공빈 김씨(1553년 11월 26일 ~ 1577년 6월 23일)
  • 법적 장모: 의인왕후(1555년 5월 15일 ~ 1600년 7월 26일), 인목왕후(1584년 12월 5일 ~ 1632년 8월 3일)
  • 자녀 (4남 또는 3남 1녀)
  • 성별 불명의 자녀 (1592년)[14]
  • 장남 (1596년 ~ 1596년)
  • 차남: 이지(1598년 ~ 1623년)
  • 며느리: 폐빈 박씨(1598년 ~ 1623년)
  • 손녀: 군주 (1614년 ~ 1614년)
  • 손녀: 현주(縣主) 이아기(李娥其) (1618년 ~ ?), 의성 김씨 김문거(金文擧)의 처
  • 손녀: 현주(縣主) (생몰년 미상)
  • 삼남 (1601년 ~ 1603년)


광해군과의 사이에서 4명의 자녀를 낳았으며, 이 중 한 명은 성별이 불분명하여 4남 또는 3남 1녀이다. 성인이 된 자녀는 차남 이지뿐이다.[14] 이지는 3명의 딸을 낳았지만, 성인이 된 것은 측실 소생의 딸 이아기(李娥其)뿐이었다. 이아기는 의성 김씨 김문학(金文學)과 혼인했으나 자녀를 두지 못하고 양자를 들여, 혈통은 손녀 대에서 끊겼다.

3. 4. 자녀

작호이름생몰년배우자비고
-성별 미상[14]1592년colspan="2" |
장남왕자1596년 - 1596년colspan="2" |
차남폐세자 廢世子지 祬1598년 - 1623년폐세자빈 박씨 廢世子嬪 朴氏[15]유배지에서 사사됨
3남왕자[16]1601년 - 1603년colspan="2" |



광해군과의 사이에서 4명의 자녀를 낳았다. 그 중 한 명은 성별 불명이며, 자녀의 내역은 4남 또는 3남 1녀가 된다. 성인이 된 것은 차남 이지뿐이다.

4. 기타

폐비 류씨는 생전에 불교를 숭상하였다고 한다. 《공사견문록》에 따르면, 폐비 류씨는 대궐 안에 금부처를 모셔두고 직접 기도하며 복을 빌었다고 한다. 또한 궁중에는 나무로 새기거나 흙으로 빚은 불상이 매우 많았는데, 여러 사찰에 나누어 주었다고 한다. 류씨는 항상 하늘에 빌기를, "다음 생에는 다시 왕가의 며느리가 되지 않게 하소서."라고 하였다고 한다.[11]

2002년 11월 15일부로 [https://web.archive.org/web/20180810131450/http://1392.org/ 사이버 조선왕조]라는 사이트에서 남편 광해군을 '혜종 경렬성평민무헌문대왕'으로 추존하고, 류씨를 '혜장왕후', 능호를 열릉으로 하여 추숭하였으나, 국가적으로 공인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인정받지는 않는다.[11]

5. 관련 유물

광해군비 당의는 대한민국 중요민속문화재 제215호이다.

6. 대중 문화

폐비 류씨는 여러 대중 매체에서 다루어졌다. 드라마와 영화에서 다양한 배우들이 폐비 류씨를 연기했다.

6. 1. 드라마

연도방송사드라마 제목배우
1986년MBC회천문이기선
1995년KBS서궁장서희
2000년~2001년KBS천둥소리유민주
2003년~2004년SBS왕의 여자사강
2013년MBC구암 허준이시아
2014년~2015년KBS왕의 얼굴김희정
2015년MBC화정김효서
2019년tvN왕이 된 남자이세영
2019년KBS2조선로코 - 녹두전박민정
1995년KBS궁중 여관 김상궁일본어(宮廷女官キム尚宮)장서희
1999년~2000년MBC허준(ホジュン 宮廷医官への道)일본어
2003년SBS왕의 여자(寝むって行くあの雲よ)일본어사강
2013년MBC허준 ~ 전설의 명의 ~(ホジュン〜伝説の心医〜)일본어이시아
2017년KBS왕의 얼굴(王の顔)일본어김희정
2019년tvN왕이 된 남자(王になった男)일본어이세영
2019년KBS녹두전(ノクドゥ伝)일본어박민정

6. 2. 영화

연도작품명방송사배역
1995년서궁KBS2장서희
2003년~2004년왕의 여자SBS사강
2012년광해, 왕이 된 남자한효주
2013년구암 허준MBC이시아
2014년왕의 얼굴KBS김희정
2015년화려한 유혹MBC김효서
2019년왕이 된 남자tvN이세영
2019년녹두전KBS2박민정


참조

[1] 서적 왕비들의 조선왕조
[2] 서적 왕비들의 조선왕조
[3] 서적 왕비들의 조선왕조
[4] 저널 광해·능양군 연간의 해인사 수다라장과 법보전 상량문 연구 https://www.koreasci[...] 2020
[5] 문서 중전 유씨 언니들의 이름이 옥영(玉英)과 중영(重英)이며 여동생은 소영(小英)이다.
[6] 서적 선원록
[7] 서적 광해군일기 1610-04-22
[8] 서적 공사견문록
[9] 서적 인조실록 1623-10-08
[10] 서적 인조실록 1623-10-29
[11] 웹인용 사이버 조선왕조 서고의 <혜종대왕문서> http://www.1392.org/[...] 2008-12-10
[12] 계보
[13] 계보
[14] 서적 광해군일기 1614-07-04
[15] 문서 이이첨의 외손녀
[16] 서적 선조실록 1603-11-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